10 |
태을주를 읽어 천하창생을 살려라.
[67]
|
새시대 |
천지의 성령의 음악, 태을주
★상제님께서 약장 공사를 보실 때 단주수명 아래에 태을주를 쓰셨다. 태을주는 궁극으로 인류의 영성과 심법 경계에서 온 인류를 구원하고 통일하는 주문이다.
★인간의 정서에 가장 큰 감동과 변화를 주는 것이 노래와 춤이다. 노래를 통해 용기를 얻기도 하고 우울증에 빠지기도 하고, 여러 가지 순간적인 감성의 변화가 일어난다.
★태...
|
9 |
태을주 수행을 보다 잘 하려면
[3]
|
새시대 |
태을주 수행을 보다 잘 하려면
태을주로 조화 문명을 연다
태을주 주문에 대해 상제님께서 말씀하신 도전 성구를 함께 읽어보자. 태을주를 읽는 것은 천지 어머니 젖을 빠는 것과 같아서 태을주를 읽지 않으면 그 누구도 개벽기에 살아남지 못하느니라. (道典 6:76:4) 태을주는 수기(水氣) 저장 주문이니라. (道典 2:140:8) 태을주를 읽어야 신도(神道)가 나고 조화가 ...
|
8 |
인간은 왜??
[13]
|
새시대 |
|
7 |
증산도의 자긍심
[12]
|
새시대 |
증산도의 자긍심 가을 천지가 온다. 단순한 이 한 말씀이 인간 역사의 총 결론이다. 그런데 사람들이 이 사실을 모른다. 얼마나 엄청나고 허망한 일인가. 개벽문화 진리의 칼날을 역사의 심장부에 들이대려고 하는 우리 일꾼들의 안목에서 보면, 한밤중에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게 하는 문제다. 세상은 가을개벽에 대해 문자 그대로 깜깜 무소식이다. 이 세상 사람들의 생...
|
6 |
가을개벽에 시간론의 비밀이!
[10]
|
새시대 |
증산도 종정님 말씀: 이 우주의 존재 목적이 뭐냐? 그걸 푼 사람이 없어. 아인슈타인도 못 풀었고, 호킹도 못 풀고, 지구촌에 수백만 명의 과학자가 있는데 아무도 그걸 풀지 못하고 있어. 그런데 그걸 증산도에서는 풀어. 그 해답이 바로 우주일년 얘기여! 우주의 봄여름과 가을겨울이 있다는 것, 이게 단순하지만 여기서 해답이
다 나와.
가을개벽에 시...
|
5 |
태을주읽는 방법
[4]
|
새시대 |
의지를 강하게 하려면
도기 133년 12월 22일, 동지치성 및 12월 증산도대학교
허리를 반듯하게 펴야 먼저 다 함께 태을주를 읽기로 하겠어요, 허리를 반듯이 펴고. “훔치훔치 태을천 상원군 훔리치야도래 훔리함리사파하” “훔치훔치 태을천 상원군 훔리치야도래 훔리함리사파하” “훔치훔치 태을천 상원군 훔리치야도래 훔리함리사파하” 집에서나 도장에서나 또...
|
4 |
인생의 근본문제를 풀어주는 증산도 우주론
|
새시대 |
인생의 근본문제를 풀어주는 증산도 우주론
『신과 천문학』이란 책을 보면 쟈스트로우(Robert Jastrow)라는 천문학자가 한평생 망원경을 놓고 광막한 대우주 은하계를 관측했다. 그러던 어느 날 자기 마음속에 이런 의문이 들더라는 것이다. '도대체 이 우주는 웬 별이 이렇게 많담?' 본능적으로 나온 이 한마디가 신학자가 묻는 질문과 똑같은 것이다. '우주는 무엇 때문에...
|
3 |
천지의4덕 원형이정
|
새시대 |
건(乾)의 정신, 원형이정 오늘은 원형이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. 주역은 64괘로 되어 있습니다. 그중 제일 첫 번째가 건(乾)괘입니다. 건곤감리(乾坤坎離))에서 건을 상제님이라고 합니다. 따라서 주역은 상제님으로부터 시작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. 태호 복희씨께서는 괘만 그렸고, 거기에 대한 설명은 문왕이 붙였습니다. 문왕이 상나라의 핍박으로 지금의 중...
|
2 |
어머니 하나님, 수부(首婦)님!
[3]
|
새시대 |
┃상극의 질서가 억음존양을 낳아
천지부모가 인간을 낳아 기르는 과정인 선천 봄여름 세상에서는, 음양의 균형이 어긋나 있다. 하늘땅과 그 대행자인 일월의 음양 운동이 어그러져 있다. 양(陽) 중심이다. 그것을 억음존양(抑陰尊陽)이라고 한다. 인간들의 생각도 전부 하늘 중심, 양 중심, 남성중심이고 사회제도도 문명사 속에서 그런 대세로 발전해 와서 남성중심의 문화가...
|
1 |
인생의 근본문제를 풀어주는 증산도 우주론
|
새시대 |
인생의 근본문제를 풀어주는 증산도 우주론 『신과 천문학』이란 책을 보면 쟈스트로우(Robert Jastrow)라는 천문학자가 한평생 망원경을 놓고 광막한 대우주 은하계를 관측했다. 그러던 어느 날 자기 마음속에 이런 의문이 들더라는 것이다. ‘도대체 이 우주에는 웬 별이 이렇게 많담?’ 본능적으로 나온 이 한마디가 신학자가 묻는 질문과 똑같은 것이다. ‘ 우주는 무...
|